
비 내린 아침, 런던 메이페어의 조용한 골목을 걷다가 유리창 너머로 검은 장갑을 낀 설치 팀이 마지막 수평을 맞추는 모습을 본다. 바깥은 축축하지만, 안은 건조하고 단단하다. 벽 텍스트에는 큐레이터의 문장이 다섯 줄 넘게 이어지고, 쇼카드는 종이 질감부터 진지하다. 런던의 전시는 문헌과 제도가 의사결정을 이끈다. 테이트·서펜타인·바비칸 같은 기관의 어휘가 상업 갤러리의 벽에 자연스럽게 박히고, 프리즈 런던/프리즈 마스터스 기간엔 메이페어-세인트제임스-피츠로비아-버먼지에 이르는 클러스터가 하나의 거대한 각주처럼 작동한다. 바로 옆 블록에서는 소더비·크리스티·필립스의 미리 보기 동선이 갤러리 언어와 맞물린다. 런던이 다른 도시와 다른 점은, 전시장에서 카탈로그까지 이어지는 텍스트의 인장이 거래를 미묘하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