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미술과 미술시장/세계 미술 지도 2

런던, 뉴욕 - 도시가 만드는 기준선과 속도

비 내린 아침, 런던 메이페어의 조용한 골목을 걷다가 유리창 너머로 검은 장갑을 낀 설치 팀이 마지막 수평을 맞추는 모습을 본다. 바깥은 축축하지만, 안은 건조하고 단단하다. 벽 텍스트에는 큐레이터의 문장이 다섯 줄 넘게 이어지고, 쇼카드는 종이 질감부터 진지하다. 런던의 전시는 문헌과 제도가 의사결정을 이끈다. 테이트·서펜타인·바비칸 같은 기관의 어휘가 상업 갤러리의 벽에 자연스럽게 박히고, 프리즈 런던/프리즈 마스터스 기간엔 메이페어-세인트제임스-피츠로비아-버먼지에 이르는 클러스터가 하나의 거대한 각주처럼 작동한다. 바로 옆 블록에서는 소더비·크리스티·필립스의 미리 보기 동선이 갤러리 언어와 맞물린다. 런던이 다른 도시와 다른 점은, 전시장에서 카탈로그까지 이어지는 텍스트의 인장이 거래를 미묘하게 이..

아트 바젤 - 세계 표준이 되는 ‘기준선’ 읽기

바젤 기차역에서 트램을 타고 메쎄(Messe) 앞에 내리면, 거대한 ‘메쎄플라츠’의 원형 천창이 하늘을 잘라내며 입구를 비춘다. VIP 프리뷰 첫 시간, 검은 옷의 사람들 사이로 큐레이터 배지가 언뜻언뜻 보이고, 작은 노트에 숫자를 적는 딜러의 손놀림이 빠르다. 다른 아트페어와 달리 아트 바젤은 “많다”보다 “엄정하다”가 먼저 떠오른다. 출품 심사와 초대 갤러리의 폭이 넓지만, 그만큼 큐레이션의 기준선이 높다. 프리즈가 ‘동시대의 파동’을, TEFAF가 ‘역사와 감정가의 눈’을 앞세운다면, 바젤은 동시대·현대·근대가 하나의 지도처럼 연결된다. 그래서 바젤의 통로를 걷는다는 건 소문을 확인하러 가는 게 아니라, 시장의 공용 언어 - 시리즈의 중심, 표준 사양, 기관 신호 - 를 현장에서 번역하러 가는 일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