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3

예산 100만 원으로 한 달 즐기기 - 만족을 극대화하는 법

월초의 첫 토요일, 메모앱 첫 줄에 숫자 하나를 적는다. “이번 달 미술 예산: 1,000,000원.” 카드 명세서와는 별개의, 기쁨을 관리하는 통장 같은 숫자다. 계획은 단순하다. 전시 몇 개를 제대로 보고, 작가 노트를 한두 권 모으고, 소형 작업 하나를 고르고, 남은 돈으로 프레이밍을 깔끔히 마무리한다. 지난 시즌의 실패 - 티켓을 무심코 쌓다가 소형 작품을 놓친 일, 프레임 비용을 간과해 총액이 틀어진 일 - 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오늘은 총액 예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항목을 나누지 않고, 한 달 동안 미술에 쓰는 모든 지출을 한 바스켓에 넣어 사후 배분하는 방식이다.지갑을 열기 전, 벽 앞에서 스스로에게 묻는다. “이번 달의 목표는 돈을 쓰는 게 아니라, 문장을 남기는 것이다. 왜 이 전시였는..

온라인 뷰잉룸 - 집에서 하는 프리뷰, 문서·영상·가격을 한 화면에 정리하는 법

밤 10시, 거실 등만 낮춰 두고 노트북을 연다. 링크를 클릭하면 로딩 바가 지나가고, 화면 가득한 작품 이미지가 조용히 떠오른다. “View in room” 버튼을 누르자 가상 벽 위로 작품이 걸리고, 커서를 대면 치수와 프레임 두께가 따라온다. 확대 슬라이더를 끝까지 당기면 붓질의 골과 종이 섬유가 살아나고, 옆 탭의 PDF에는 작가 노트와 전시 이력, 에디션 표가 정리되어 있다. 채팅창에 “프레임 포함인가요?”라고 남겼더니 몇 분 뒤 담당자가 “프레임 제외, UV 아크릴 옵션 가능, 운송 별도”라고 답한다. 오프닝 밤의 소란 대신, 한 장의 화면 안에서 선호–증거–총액이 차분히 연결되는 순간이다. 온라인 뷰잉룸은 “가서 볼 수 없는 아쉬움”이 아니라, 집중과 비교에 최적화된 환경이다. 화면이 보여 ..

서울 가을 시즌 준비 - 한 달 루틴

9월의 달력이 갑자기 복잡해진다. 휴대폰에 “프리뷰 RSVP 마감”, “기관 야간 개관”, “페어 오프닝” 알림이 줄줄이 뜨고, 지도 앱에는 삼청–한남–성수에 별표가 촘촘히 박힌다. 토요일 아침, 얇은 카디건 주머니에 연필 하나를 꽂고 집을 나선다.오늘의 코스는 세 구간 - 삼청의 기관 전시로 몸을 깨우고, 사간·북촌의 상업 갤러리에서 신작과 가격 계단을 확인한 뒤, 성수 쪽 위성 전시로 마무리하는 3시간짜리 루틴. 전시장은 맑고, 거리는 분주하다. 벽 텍스트를 한 문단만 읽고 작품 앞에 서는 습관이 붙자, 라벨의 “전시/문헌/프로버넌스” 문장도 더 이상 정보의 홍수가 아니다. 오후에는 레지던시 오픈스튜디오에서 작가의 말을, 저녁에는 페어 플랫폼의 뷰잉룸에서 자료를 정리한다. 가을 시즌을 잘 보낸다는 건..

아트페어 하루 공략법 - 부스 동선·딜러 대화·후속 메일까지 3시간 루틴

입구에서 손목밴드를 받는 순간부터 공기가 바뀐다. 음악과 사람의 웅성거림, 크레이트에서 막 나온 나무 냄새, 바퀴 소리와 라벨 스티커가 슥슥 떼어지는 마찰음이 한꺼번에 밀려든다. 지도를 펼치면 알파벳과 숫자가 뒤섞인 격자가 눈을 먼저 흔들고, 그 격자 속에 세계 각지의 갤러리 명단이 빼곡하다. 처음 방문하는 관람객은 무심코 가장 큰 통로로 빨려 들어가지만, 노련한 애호가는 스스로의 속도를 먼저 정한다. 입장하자마자 직접 종이 지도에 별표를 찍고, 휴대폰 메모에 오늘의 목표를 딱 세 줄로 줄인다. “대표 시리즈의 표준 사양을 한 작가에서 확인할 것. 사진·판화 부스에서 에디션 구조와 가격 계단을 비교할 것. 오후 3시 이전에 1차 후보를 5점으로 압축할 것.” 이 세 줄이 발걸음의 리듬을 만든다.부스 앞에..

프리뷰 체크리스트 - 뒷면 라벨부터 컨디션, 보증·세금 기호까지 20분 점검 루틴

프리뷰룸에 들어서면 공기가 다릅니다. 전시장보다 살짝 밝고, 작품 사이의 간격은 좁으며, 벽면 캡션 아래에는 작은 스티커나 기호가 더 붙어 있습니다. 직원은 컨디션 리포트를 준비해 두었는지 묻고, 당신은 카탈로그에서 표시해 둔 로트 번호를 속으로 한 번 더 되뇌입니다. 첫 대면은 늘 표면에서 시작합니다. 정면에서 한 걸음, 그리고 비스듬한 각도로 또 한 걸음. 광택이 도는 바니시가 균일한지, 색면의 미세한 요철이 조명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종이 가장자리에 얇은 누런 띠가 있지는 않은지 눈이 적응하자마자 점들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잠깐 숨을 고르고 작품 뒷면을 보게 해달라고 요청합니다. 라벨, 운송 스티커, 연필 메모, 주조소 마크, 스튜디오 스탬프-이 몇 가지 단서가 한 장의 작품을 시간 속에 고정시키..

처음 경매 참여하기(모의) - 타이머·호가·상한선의 감각을 몸에 익히기

저녁 9시가 조금 지나, 온라인 세일 페이지를 엽니다. 화면 오른쪽 상단의 카운트다운 타이머는 3분을 가리키고, 그 아래에는 현재 호가와 다음 호가 단위가 깜빡입니다. 누군가가 한 번 더 올리자 남은 시간이 다시 2분 59초로 리셋되고, 조용했던 화면이 갑자기 살아납니다. 경매는 끝을 향해 달려가면서도 누군가의 손짓 하나로 끝을 미루는 장치입니다. 초심자에게 가장 무서운 순간은 이 연장과 단위가 만들어 내는 리듬을 모른 채, “지금 아니면 못 산다”는 압박에 휩쓸릴 때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실제 돈을 쓰지 않는 모의 참여로 시작합니다. 카탈로그에서 마음에 드는 로트 세 개를 고르고, 각 로트에 총액 기준 상한선을 적습니다. 그리고 타이머가 줄어드는 화면을 보면서, 프리미엄과 세금, 운송까지 더한 최종 지..

경매 카탈로그 읽는 법 - 한 장에서 가격·리스크·기회를 잡아내기

프리뷰룸 문을 열고 들어가 카탈로그를 한 권 집어 들면, 얇은 광택지의 차가운 촉감이 먼저 손끝을 깨웁니다. 표지를 넘기는 순간, 로트 번호가 큼직하게 박힌 제목행이 시선을 끌고, 그 아래 단정한 활자로 작가·작품명·연도가 줄을 맞춥니다. 사진 한 컷이 한 페이지를 장악하고, 반대편에는 재료와 크기, 전시·문헌 기록, 프로버넌스, 컨디션 설명이 잔잔하게 이어집니다. 언뜻 화보집 같지만, 사실 이 페이지는 가격과 위험, 그리고 기회가 교차하는 지도와 같습니다.경험 많은 애호가들은 이 한 장을 넘길 때, 눈의 순서를 미리 정해 둡니다. 제목을 스치듯 확인하고, 곧장 재료·크기로 내려가 자신의 공간·운송 현실과 대조합니다. 이어서 프로버넌스를 읽는 동안에는 체인(소유 이력)의 끊김을 찾고, 바로 아래 전시·문..

주말 갤러리 산책코스 짜기 - 90분 코스, 대화, 재방문까지 한 호흡으로

토요일 아침 10시, 집을 나서며 지도를 반으로 접어 주머니에 넣는다. 오늘은 코스를 세 개로 나눴다. 삼청-사간-북촌에서 몸을 풀고, 점심 뒤 한남-이태원에서 대화를 늘리고, 해 질 무렵 성수-서울숲에서 마무리하며 재방문으로 결론을 정리하는 식. 첫 공간 문을 여니 차가운 공기가 볼을 스친다. 벽은 조용하지만 표면은 이미 말이 많다.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 3분간 가만히 선다. 전면에서 한 번 숨을 들이마시고, 45도에서 표면의 빛을 확인하고,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서명과 연도를 읽는다. 그제야 메모앱을 연다. “△△작가, 2023, 80×60cm, 아크릴/캔버스 - 표준 사양 후보.” 프레스 릴리스를 하나 챙겨 주머니에 넣고, 다음 공간까지 7분을 걸어가며 방금 본 장면을 마음속에서 다시 걸어 본다. ..

신진작가 찾기 - 눈의 설렘을 ‘근거’로 바꾸는 법

초여름 저녁, 지하 1층 작은 전시공간 문을 열자 미지근한 바람과 함께 종이 냄새가 올라온다. 벽에 걸린 건 손바닥보다 조금 큰 연필 드로잉들. 가까이 다가가면 선의 숨이 들리고, 종이 모서리엔 작게 남은 손의 떨림이 보인다. 이름은 처음 듣는 작가. 부스 한쪽엔 리소그래프 소책자와 작가 노트, 다음 달 오픈스튜디오 안내 카드가 놓였다. 담당자는 “이번 시리즈는 졸업전 이후 처음 선보이는 연작이고, 에디션 드로잉 몇 점은 빠르게 예약이 잡혔다”고 말한다. 당신은 메모앱을 열어 작가명 / 시리즈명 / 표준 크기 / 재료 / 가격(작품가→총액)을 적고, 사진은 전면·디테일·라벨 세 장만 남긴다. 마음은 이미 반쯤 움직였지만, 발은 천천히 다음 공간으로 향한다. 오늘의 목표는 하나다. ‘좋아함’을 ‘산다’로 ..

스트리트 아트 현상 - 거리에서 미술관으로, 서명부터 에디션까지

비 오는 토요일 새벽, 골목 모퉁이 철문에 새 포스터가 붙어 있습니다. 어젯밤엔 없던 이미지 - 검은 실루엣이 스텐실로 뿜어져 나온 듯 선명하고, 모서리엔 “HAND-FINISHED”라는 작은 스탬프가 찍혀 있습니다. 같은 날 오후, 갤러리에서는 비슷한 미장센의 캔버스·스크린프린트가 프레임에 정갈히 들어가 서있죠. 거리에서 태어난 이미지가 하룻밤 새 제도권의 벽으로 옮겨온 듯한 풍경입니다. 스트리트 아트는 본래 장소-시간-위반의 감각을 무기로 삼았습니다. 밤에 붙이고, 아침이면 지워질지 모르는 운명을 전제로 만들어지는 이미지. 그런데 이 이미지가 미술관·경매에 들어오며 ‘어떻게 원본을 증명하고, 무엇을 에디션으로 배포할 것인가’라는 새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이 질문을 붙잡으면, 스트리트 아트의 감상과 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