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행 3

서울 가을 시즌 준비 - 한 달 루틴

9월의 달력이 갑자기 복잡해진다. 휴대폰에 “프리뷰 RSVP 마감”, “기관 야간 개관”, “페어 오프닝” 알림이 줄줄이 뜨고, 지도 앱에는 삼청–한남–성수에 별표가 촘촘히 박힌다. 토요일 아침, 얇은 카디건 주머니에 연필 하나를 꽂고 집을 나선다.오늘의 코스는 세 구간 - 삼청의 기관 전시로 몸을 깨우고, 사간·북촌의 상업 갤러리에서 신작과 가격 계단을 확인한 뒤, 성수 쪽 위성 전시로 마무리하는 3시간짜리 루틴. 전시장은 맑고, 거리는 분주하다. 벽 텍스트를 한 문단만 읽고 작품 앞에 서는 습관이 붙자, 라벨의 “전시/문헌/프로버넌스” 문장도 더 이상 정보의 홍수가 아니다. 오후에는 레지던시 오픈스튜디오에서 작가의 말을, 저녁에는 페어 플랫폼의 뷰잉룸에서 자료를 정리한다. 가을 시즌을 잘 보낸다는 건..

카테고리 없음 2025.08.27

아트페어 하루 공략법 - 부스 동선·딜러 대화·후속 메일까지 3시간 루틴

입구에서 손목밴드를 받는 순간부터 공기가 바뀐다. 음악과 사람의 웅성거림, 크레이트에서 막 나온 나무 냄새, 바퀴 소리와 라벨 스티커가 슥슥 떼어지는 마찰음이 한꺼번에 밀려든다. 지도를 펼치면 알파벳과 숫자가 뒤섞인 격자가 눈을 먼저 흔들고, 그 격자 속에 세계 각지의 갤러리 명단이 빼곡하다. 처음 방문하는 관람객은 무심코 가장 큰 통로로 빨려 들어가지만, 노련한 애호가는 스스로의 속도를 먼저 정한다. 입장하자마자 직접 종이 지도에 별표를 찍고, 휴대폰 메모에 오늘의 목표를 딱 세 줄로 줄인다. “대표 시리즈의 표준 사양을 한 작가에서 확인할 것. 사진·판화 부스에서 에디션 구조와 가격 계단을 비교할 것. 오후 3시 이전에 1차 후보를 5점으로 압축할 것.” 이 세 줄이 발걸음의 리듬을 만든다.부스 앞에..

카테고리 없음 2025.08.26

주말 갤러리 산책코스 짜기 - 90분 코스, 대화, 재방문까지 한 호흡으로

토요일 아침 10시, 집을 나서며 지도를 반으로 접어 주머니에 넣는다. 오늘은 코스를 세 개로 나눴다. 삼청-사간-북촌에서 몸을 풀고, 점심 뒤 한남-이태원에서 대화를 늘리고, 해 질 무렵 성수-서울숲에서 마무리하며 재방문으로 결론을 정리하는 식. 첫 공간 문을 여니 차가운 공기가 볼을 스친다. 벽은 조용하지만 표면은 이미 말이 많다.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 3분간 가만히 선다. 전면에서 한 번 숨을 들이마시고, 45도에서 표면의 빛을 확인하고,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서명과 연도를 읽는다. 그제야 메모앱을 연다. “△△작가, 2023, 80×60cm, 아크릴/캔버스 - 표준 사양 후보.” 프레스 릴리스를 하나 챙겨 주머니에 넣고, 다음 공간까지 7분을 걸어가며 방금 본 장면을 마음속에서 다시 걸어 본다. ..

카테고리 없음 2025.08.25
반응형